본문 바로가기
  • 샤의 명리 Library

사주 이론/지장간4

지장간의 해설 잡기 - 진, 술, 축, 미 / 辰, 戌, 丑, 未 지장간의 해설 잡기 - 진, 술, 축, 미 / 辰, 戌, 丑, 未 지장간의 해설 - 잡기 여러기운이 섞여 있다는 의미이다. 오행의 순환 상 접목의 시기, 만물의 변화를 주도해 새로운 발전으로 이끄는 중요한 작용 지나치게 왕성한 기운은 자제 시키고 새로운 생성의 기운을 만들어 내는 역할 형상과 용도의 중간에서 드러나지 않게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자연 변화의 시작하는 기운과 왕성한 기운과 쇠하는 기운을 동시에 담고 있다. 하늘의 기운인 천간이 땅의 기운인 지지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변화하는 지를 자세하게 보여준다. 잡기의 특징 잡기의 여기는 진월은 봄을 접고, 미월은 여름, 술월은 가을, 축월은 겨울을 접는다. / 접다 잡기의 중기는 취합하여 분출하는 작용 - 진월은 수기를 모아 화기인 화분으로 발산, 미월.. 2024. 1. 18.
지장간의 해설 왕기 - 자 오 묘 유 / 子, 午, 卯, 酉 지장간의 해설 왕기 - 자 오 묘 유 / 子, 午, 卯, 酉 왕기란? 생기의 중기를 취합하여 용으로 쓰고 잡기의 중기에 자신의 형체를 숨겨 지지 변화의 중심에 있다 하여 왕기라고 한다. 생기는 미래, 잡기는 과거적 기운인데 이것과는 다르다. 하나의 오행 기운만을 가지므로 순수하고 강하나 미래 과거를 오가는 활동성은 미약 나의 자리를 지키는 체성, 외모가 화려하고 준수하다. 이것을 도화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월 (임 /계) 자수는 신의 중기(임수)를 취합하여 쓰임을 만들어내고 자가 진의 잡기의 중기(계수)의 자신의 형체를 숨겨 변화의 중심에 있게 된다. 신중의 임수가 사용되는 시기 계수는 화로 변화되어 나타나기 위해 자신의 형상을 진토에 숨김 임수가 장하는 마지막 기운, 이 시기를 지나면 월동준비 기회를 .. 2024. 1. 17.
지장간의 해설 - 인, 신, 사, 해 / 寅, 申, 巳, 亥 지장간의 해설 - 인, 신, 사, 해 월 寅, 申, 巳, 亥 생지 각 계절의 출발을 나타내는 것 앞으로 나아가는 시작점 역마라 하여 봉사와 전달, 중개의 의미로 해석 1. 인월 인월은, 화의 기운이 시작되는 곳 화의 기운은 오월에 가장 왕성하고 술월에 마무리 된다. 축의 기운이 남아 있는 시기이므로 여기는 무토가 사령 과거 무 - 여기 : 축의 기운이 남아있음. 아직 겨울 기운이 있다. 겨울 기운을 마무리 하여야 한다. 미래 병 - 중기 계절로는 봄이나 화의 기운이 시작하는 시점 현재 갑 - 정기 인목과 동일한 오행 표시한 것 인목의 특징 갑목의 형상을 하고 있지만 병화의 기운으로 사용된다 체는 갑목, 용은 병화이다!(병화의 기운으로 더 잘쓰인다) 여기 무토는 정기의 기운이 오르는 갑목의 시기에 드러남 .. 2024. 1. 16.
지장간이란? 지장간이란? 천간은 하늘, 지지는 땅, 땅이 만물을 키우기 위해 하늘의 양기를 받아들이는데 땅이 품은 하늘의 기운을 지장간이라고 한다. 땅속에 천간의 뜻이 감추어져 있다는 말이다. 천간은 때, 지지는 인간의 활동이고 지장간은 이것이 결합된 것이다. 통근과 투간을 구분해보자. 통근과 투간 통근 : 때에 맞춰 움직이는 하늘의 기운을 받은 인간이 하늘과 일치하여 움직이는 것(기준이 천간) 투간 : 스스로 능력을 발휘하여 활동하던 중에 때에 맞는 하늘의 도움을 받는 것 (지장간 속 글자가 천간으로 드러나는 것) 지장간은 잠복되어 있다가 통근과 투간으로 작용한다 예) 임인년 임수가 내 사주에 신 중 임수, 해중 임수, 자중 임수 이것이 통근 / 근을 내리는 것 이다 (천간에서 > 장간, 지지) 임인년 천간 임수가.. 2024.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