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샤의 명리 Library

사주 이론/십천간10

십천간 - 계수의 특징, 癸水, 계수 계수란? 우로와 같은 것으로 토와 배합되어 목의 양분이 되는 것 계수는 인간에게는 지혜와 지식습득을 통한 현명함으로 작용한다. 계수는 흐르는 성질이 있어 경사진 땅을 만나 아래로 흐르거나 수원(경금)을 만나 흘러나와야한다. 계수는 태양(병화)을 만나 수증기가 되어 위로 올라가야 쓰임이 생긴다. 계수는 인간의 삶에 매우 유용한 요소이나 환경이 조성되지 못하면 해를 끼친다. 계수가 지나치면, 안개나 구름이되는 것으로 정신을 혼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계수가 부족하면 목에게 수분이 부족하여 잔꾀로 살아갈 생각을 한다. 계수의 활동조건 계수는 병화에 의해 우로가 되어 만물이 타죽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병화의 지나침을 자제하는 지혜와 같다. 계수는 토와 배합되어 양분으로 작용 하면 지식 습득, 사회생활.. 2024. 1. 10.
십천간 - 임수의 특징, 壬水, 임수 수는 윤하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임수란? 임수는 바다를 뜻한다. 멀리까지 흘러가는성질이 있다. 임수가 태양(병화)의 온난함을 만나면 기화가 되어 우로가 되어 만물의 양분으로 작용한다. 임수는 방파제(무토)를 조성해야 폐해를 막아야 가치를 지닌다. 임수가 온난하지 않고 방파제가 없으면 범람하여 논밭을 황폐, 바람을 일으켜 습기를 빨아들여 주변 땅을 가물고 메마르게한다. 임수가 마땅한 환경을 만나지 못하면 포부는 원대하나 실현할 수 없다. 임수의 활동 조건 임수는 무토가 제방 역할을 하여 범람을 막아야 유용하게 쓰이는 물건이 됨 임수는 목(갑목)을 만나야 쓰임이 생긴다. 목을 키울 수 있는 물이 된다. 임수가 토를 만나지 못하면 가뭄이 들거나(물이 다 빠져나가버림), 범람홍수가 발생 하여 목을 키울 수 .. 2024. 1. 9.
십천간 - 신금의 특징, 辛金 특징 신금이란? 가공 필요 없는 재료, 이미 기물로 완성되어 변화가 어려운 제품이다. 고정되면 바꾸기 힘들다. 이미 완성되었다는 생각에 교류, 가치 향상에 무관심할 수 있다. 외부 충격이 와야 자극을 받아드린다. 더 나은 모습으로 거듭나기 위해 변화를 받아드려야 한다. 신금의 활동 조건 신금은 토보다는 수를 만나야 한다 > 기존의 나의 가치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신금은 기존의 것을 유지하면서 변화를(토)만나야 하는 것이다. 신금이 토를 만나면 변화의 의지가 생긴다. 신금이 화를 만나면 외부충격으로 변화 동기가 생긴다. 토를 보지 못한 신금이 화를 만나면 의지가 미약하여 경쟁에 뒤쳐짐 수가 없이 화를 만나면 가치를 유지할 능력도 없는데 이러한 환경이 생겨 힘들다. 토와 수가 없이 변화와 발전을 이루지 못하.. 2024. 1. 8.
십천간 - 경금의 특징, 경금, 庚金 금은 종혁이다 쓰이는 용도가 달라질 수 있다. 경금 갑목과 비교해서 보면 수월하다. 경금은 갑목과 더불어 인간이 활용할 수 있는 재료에 비유된다. 금은 토에서 구한다. 경금은, 정화에 의해서 재료에서 도구로써의 모습을 갖추어 나간다. 정화는 이 금을 변형 시켜(제련) 쓸모있게 만든다. 변형과 축소를 통한다. 금은 축소로 인해 더욱더 견고해지는 것이다. 자신의 가치를 만들어 나가려는 미래지향적 성향이 나타난다. 경금의 활동 조건 토를 만나야 재료로써 구실을 한다. 물이 샘솟는 우물과 같아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생겨나는 것이다. 화를 보면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재료가 된다 우수한 인력이나 고품질의 상품이 된다 수를 보아야 유용한 가치를 널리 인정 받음 춘하- 양질의 교육 추동 - 유통되는 상품 경금이 토나 화.. 2023.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