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샤의 명리 Library
사주 이론/십천간

십천간 - 계수의 특징, 癸水, 계수

by SAJU Archive 2024. 1. 10.

 

계수란?

우로와 같은 것으로 토와 배합되어 목의 양분이 되는 것

 

  • 계수는 인간에게는 지혜와 지식습득을 통한 현명함으로 작용한다.
  • 계수는 흐르는 성질이 있어 경사진 땅을 만나 아래로 흐르거나 수원(경금)을 만나 흘러나와야한다.
  • 계수는 태양(병화)을 만나 수증기가 되어 위로 올라가야 쓰임이 생긴다. 
  • 계수는 인간의 삶에 매우 유용한 요소이나 환경이 조성되지 못하면 해를 끼친다.
  • 계수가 지나치면, 안개나 구름이되는 것으로 정신을 혼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 계수가 부족하면 목에게 수분이 부족하여 잔꾀로 살아갈 생각을 한다.

 

계수의 활동조건

  • 계수는 병화에 의해 우로가 되어 만물이 타죽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병화의 지나침을 자제하는 지혜와 같다. 
  • 계수는 토와 배합되어 양분으로 작용 하면 지식 습득, 사회생활 기반이 된다. 
  • 계수는 금을 만나야 수원작용으로 오래도록 마르지 않고 흐를 수 있다. 즉, 주어진 임무를 완수한다는 것이다. 
  • 목을 만나야 계수의 역할을 다하게 된다.
  • 계수는 목을 기르고 봄까지 가려는 목적이 있음이다.
  • 계수가 병화를 만나지 못하면 눈이나 얼음이 되어 해를 끼친다.
  • 계수가 토를 만나지 못하면 안개와 같아 허망한 꿈만 꾸는 것이다. 앞이 자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