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坤卦. 주역내전 - 원문 - 왕부지 - 곤괘
坤卦. 坤, 元, 亨, 利牝馬之貞. 君子有攸往, 先迷, 後得主, 利. 西南得朋, 東北喪朋. 安貞吉. 初六, 履霜, 堅冰至. 六二, 直方大, 不習无不利. 六三, 含章可貞, 或從王事, 无成有終. 六四, 括囊, 无咎无譽. 六五, 黃裳, 元吉. 上六, 龍戰于野, 其血玄黃. 用六, 利永貞.
2024. 3. 28.
01. 乾卦. 주역내전 - 원문 - 왕부지 - 건괘
乾卦01, 乾, 元, 亨, 利, 貞. 初九, 潛龍勿用. 九二, 見龍在田, 利見大人. 九三, 君子終日乾乾, 夕惕若, 厲无咎. 九四, 或躍在淵, 无咎. 九五, 飛龍在天, 利見大人. 上九, 亢龍有悔. 用九, 見羣龍无首, 吉.
2024. 3. 27.
007. 자평진전 - 십천간이 득시(得時)해도 왕하지 않고 실시(失時)해도 약하지 않음을 논함
제7장. 십천간이 득시(得時)해도 왕하지 않고 실시(失時)해도 약하지 않음을 논함. 書云, 得時俱爲旺論, 失時便作衰看. 雖是至理, 亦死法也, 然亦可活看. 夫五行之氣, 流行四時. 雖日干各有專令, 而其實專令之中, 亦有竝存者在. 假若春木司令, 甲乙雖旺, 而此時休囚之戊己, 亦未嘗絶於天地也. 特時當退避, 不能爭先, 而其實春土何嘗不生萬物, 冬日何嘗不照萬國乎. [해석] 옛 책에서 말하기를 "득시하면 함께 왕해진다고 논하고 실시하면 치우쳐 쇠하게 된다고 본다"하였다. 비록 이 말은 지당한 이론이지만 역시 죽은 법이고 그러므로 또한 살려서 보아야한다. 무릇 오행의 기운은 사계절 속에 흘러 행한다. 비록 일간이 각각 전유의 사령이 있다 하더라도, 기실 전령의 가운데는 또한 병존하는 것이 있다. 가령 봄에는 목이 사령하여 ..
2024. 3. 19.
006. 자평진전 - 십천간이 득시(得時)해도 왕하지 않고 실시(失時)해도 약하지 않음을 논함
제7장. 십천간이 득시(得時)해도 왕하지 않고 실시(失時)해도 약하지 않음을 논함. 書云, 得時俱爲旺論, 失時便作衰看. 雖是至理, 亦死法也, 然亦可活看. 夫五行之氣, 流行四時. 雖日干各有專令, 而其實專令之中, 亦有竝存者在. 假若春木司令, 甲乙雖旺, 而此時休囚之戊己, 亦未嘗絶於天地也. 特時當退避, 不能爭先, 而其實春土何嘗不生萬物, 冬日何嘗不照萬國乎. [해석] 옛 책에서 말하기를 "득시하면 함께 왕해진다고 논하고 실시하면 치우쳐 쇠하게 된다고 본다"하였다. 비록 이 말은 지당한 이론이지만 역시 죽은 법이고 그러므로 또한 살려서 보아야한다. 무릇 오행의 기운은 사계절 속에 흘러 행한다. 비록 일간이 각각 전유의 사령이 있다 하더라도, 기실 전령의 가운데는 또한 병존하는 것이 있다. 가령 봄에는 목이 사령하여 ..
2024.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