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간의 해설 - 인, 신, 사, 해 월
寅, 申, 巳, 亥
생지
- 각 계절의 출발을 나타내는 것
- 앞으로 나아가는 시작점
- 역마라 하여 봉사와 전달, 중개의 의미로 해석
1. 인월
인월은, 화의 기운이 시작되는 곳
화의 기운은 오월에 가장 왕성하고 술월에 마무리 된다.
축의 기운이 남아 있는 시기이므로 여기는 무토가 사령
- 과거 무 - 여기 : 축의 기운이 남아있음. 아직 겨울 기운이 있다. 겨울 기운을 마무리 하여야 한다.
- 미래 병 - 중기 계절로는 봄이나 화의 기운이 시작하는 시점
- 현재 갑 - 정기 인목과 동일한 오행 표시한 것
인목의 특징
갑목의 형상을 하고 있지만 병화의 기운으로 사용된다
체는 갑목, 용은 병화이다!(병화의 기운으로 더 잘쓰인다)
여기 무토는 정기의 기운이 오르는 갑목의 시기에 드러남
중기 병화는 장기적인 계획, 미래 계획을 의미하므로 기운으로만 쓰인다. 그러다가 오월에 용으로 나타난다.
- 지지 신금을 만나면 지장간의 형상과 용도가 이지러지므로 목의형상과 화의 용도가 불분명해짐 >> 미래의 계획까지 변경되는 상황에 처함
2. 신월
신월은, 수의 기운이 시작된다. 수의 원천이다.
자에서 왕성해서 모습을 드러내고 진에서 마무리를 하게 된다. 이것이 신 자 진 이다.
- 무 미의 기운이 남아있는 시기
- 임 가을에 접어드나 수의 기운이 시작하는 시점
- 경 금의 본체인 경금이 사령
신금의 특징
형상은 경금을 하고 있으나 기운은 임수로 쓰인다
체는 경금, 용은 임수이다
무토에 접목하는 기운은 정기인 경금의 시기에 모습을 드러낸다.
경금이 드러날 때 바탕이 된다는 것 (갑목/경금 토에서부터 근간이라 그러하다)
임수의 계획은 자월에 이르러 성사되어 용으로 모습을 나타낸다.
- 지지 신금은 인목을 만나면 형상과 용도가 이지러지므로 일의 중간 과정에서 번복 현상으로 나타난다.
충을 만나면, 멈추거나 수정하게 된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3. 사월
사월은, 절기로는 입하이다. 만물이 성장하는 시기이다.
- 여기 무토 자라남을 멈추고 장으로 변화시키는 마지막 기운으로 작용이다. (생장의 끝)
- 중기 경금 미래 유금의 시기에 행할 것을 미리 준비하는 것
- 정기 병화 형상으로 화의 기운을 자랑하게 된다.
사화의 특징
여기 무토에 춘절에 생하는 기운은 정기 병화의 시기에 이르러 화토동근으로 성장 하여 화려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 해수를 만나면 장하의 화려한 형상이 이지러지고 가을에 거둬들일 것이 없어지니 계획이 수포로 돌아간다.
4. 해월
해월은, 본격 추위 시작. 입동이다. 만물이 모습을 감추는 시기이다
- 무 거둬들인것을 정리하고 보온하는 역할 수행, 월동한다
- 갑 다가올 봄에 쓰일 종자를 골라낸다.
- 임 눈과 얼음이라는 형상으로 나타난다.
해수의 특징
여기는 정기의 시기에 나타남, 무토는 임수를 만나서 새롭게 나타나는 것
중기 목은 묘월에 이르러 모습을 드러낸다.
- 사화를 만나면 눈과 얼음이 녹이니 종자까지 모두 상실 하게 된다.
'사주 이론 > 지장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장간의 해설 잡기 - 진, 술, 축, 미 / 辰, 戌, 丑, 未 (0) | 2024.01.18 |
---|---|
지장간의 해설 왕기 - 자 오 묘 유 / 子, 午, 卯, 酉 (0) | 2024.01.17 |
지장간이란? (1) | 202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