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간이란?
- 천간은 하늘, 지지는 땅,
- 땅이 만물을 키우기 위해 하늘의 양기를 받아들이는데 땅이 품은 하늘의 기운을 지장간이라고 한다. 땅속에 천간의 뜻이 감추어져 있다는 말이다.
- 천간은 때, 지지는 인간의 활동이고 지장간은 이것이 결합된 것이다.
통근과 투간을 구분해보자.
통근과 투간
- 통근 : 때에 맞춰 움직이는 하늘의 기운을 받은 인간이 하늘과 일치하여 움직이는 것(기준이 천간)
- 투간 : 스스로 능력을 발휘하여 활동하던 중에 때에 맞는 하늘의 도움을 받는 것 (지장간 속 글자가 천간으로 드러나는 것)
- 지장간은 잠복되어 있다가 통근과 투간으로 작용한다
예)
임인년
- 임수가 내 사주에 신 중 임수, 해중 임수, 자중 임수 이것이 통근 / 근을 내리는 것 이다 (천간에서 > 장간, 지지)
- 임인년 천간 임수가 오면 지지 해와 자의 기운이 천간 임으로 투간 된다. 지장간에서 활동하다가 하늘로 나타낸다.
월률분야
- 월에는 일정한 법칙이 있다. 월지는 다른 지지와 달리 계절 변화를 담고 있다.
- 한달 동안 기후의 변하는 원리를 천간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월지의 지장간을 월률분야라고 함
- 계절의 변화를 지장간 속에서 읽어내어야 한다.
지장간의 구분
- 여기 : 초기, 전달의 기운이 남아있음
- 중기 : 중간 기운, 해당 지지가 삼합하여 화하는 오행의 천간을 취한 것
- 정기 해당 지지와 동일한 오행의 천간
지지의 구분
- 생기 : 계절의 시작 인신사해
- 왕기 : 계절의 중심 자오묘유
- 잡기 : 계절의 접목기 진술축미
월지는 어느계절의 영향을 받고 태어나서 어느기운으로 화하는 가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
앞뒤로 이어져 진행하는 월이 변화되어 나타나는 기운을 천간으로 표시한 것 - 같은 달이라도 어떠한 천간이 주재하는 때에 태어났느냐에 따라 사주 기운이 달라짐
다음편에서, 지지별로 다룹니다.
'사주 이론 > 지장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장간의 해설 잡기 - 진, 술, 축, 미 / 辰, 戌, 丑, 未 (0) | 2024.01.18 |
---|---|
지장간의 해설 왕기 - 자 오 묘 유 / 子, 午, 卯, 酉 (0) | 2024.01.17 |
지장간의 해설 - 인, 신, 사, 해 / 寅, 申, 巳, 亥 (0) | 2024.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