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샤의 명리 Library
사주 이론/지장간

지장간이란?

by SAJU Archive 2024. 1. 11.
지장간이란? 

 

  • 천간은 하늘, 지지는 땅,
  • 땅이 만물을 키우기 위해 하늘의 양기를 받아들이는데 땅이 품은 하늘의 기운을 지장간이라고 한다. 땅속에 천간의 뜻이 감추어져 있다는 말이다.
  • 천간은 때, 지지는 인간의 활동이고 지장간은 이것이 결합된 것이다.

 

통근과 투간을 구분해보자. 

 

통근과 투간

  • 통근 : 때에 맞춰 움직이는 하늘의 기운을 받은 인간이 하늘과 일치하여 움직이는 것(기준이 천간)
  • 투간 : 스스로 능력을 발휘하여 활동하던 중에 때에 맞는 하늘의 도움을 받는 것 (지장간 속 글자가 천간으로 드러나는 것)
  • 지장간은 잠복되어 있다가 통근과 투간으로 작용한다

예)

임인년

  • 임수가 내 사주에 신 중 임수, 해중 임수, 자중 임수 이것이 통근 / 근을 내리는 것 이다 (천간에서 > 장간, 지지)
  • 임인년 천간 임수가 오면 지지 해와 자의 기운이 천간 임으로 투간 된다. 지장간에서 활동하다가 하늘로 나타낸다.

 

월률분야

 

  • 월에는 일정한 법칙이 있다. 월지는 다른 지지와 달리 계절 변화를 담고 있다.
  • 한달 동안 기후의 변하는 원리를 천간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월지의 지장간을 월률분야라고 함
  • 계절의 변화를 지장간 속에서 읽어내어야 한다.
지장간의 구분 
  • 여기 : 초기, 전달의 기운이 남아있음
  • 중기 : 중간 기운, 해당 지지가 삼합하여 화하는 오행의 천간을 취한 것
  • 정기 해당 지지와 동일한 오행의 천간
지지의 구분
  • 생기 : 계절의 시작 인신사해
  • 왕기 : 계절의 중심 자오묘유
  • 잡기 : 계절의 접목기 진술축미

 

월지는 어느계절의 영향을 받고 태어나서 어느기운으로 화하는 가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

앞뒤로 이어져 진행하는 월이 변화되어 나타나는 기운을 천간으로 표시한 것 - 같은 달이라도 어떠한 천간이 주재하는 때에 태어났느냐에 따라 사주 기운이 달라짐

 

다음편에서, 지지별로 다룹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