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에서 육신과 격국을 볼 때 아래와 같이 구분하여 봅니다. 아래 내용을 꼭 전제에 두셔야 구분이 명확하게 됩니다.
육신 | 격 |
행위, 방법 | 행위를 직업으로 만든다. 역할을 수행하다. |
행위는 취미, 방법 등으로 드러난다. | 행위가 직업으로 쓰였느냐? |
변호 | 변호사 |
행위와 방법 > 관계 | 수행하는 역할 > 역할 |
주변에 있는 관계이고 선택할 수 있다. 주변이 이러한 관계고, 그러한 방법론으로 써야한다. | 필수로 해야함 . 나의 역할이고 해야되고 지켜야 하는 것 |
나라는 존재 주변에 있는 것으로 선택하여 취함. | 이미 정해진 것으로 이것을 써먹어야하는 것이고, 격의 경계를 지킨다는 의미는 상신의 유무로 본다. |
상대가 나에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내가 선택할 수 있다. 내가 상대에게 비추어지는 모습 | 내가 부여받은 역할을 상대에게 쓰는 것이라 선택이 안된다. 내가 그렇게 살다 |
관성의 특징 : 정관과 편관
정관이란?
- 일간이 극을 당하고 있는 것으로, 검사받고, 관리받고, 명령받는 모습.
- 그러하다보니, 피곤하다. 주변에서 이래라 저래라가 많다는 것이다.
- 어릴 때 부터 단체생활에서 가스라이팅경험, 교육이 되어온 것.
- 관리-매뉴얼과 fm대로 움직이는 것.
- 혼자보다는 조직에 녹아나는 처세로 살아간다.
- 극을 많이 당하면 신약해지는것(개인적 욕구보다는, 주변에 녹아드는 것을 선택하기 때문)
- 누가 나에게 관리/검사 명령을 내려주기 원한다.
- 본인이 보는 세상은, 자율이 아닌 상하, 소통, 통제 등으로 바라본다. 통제욕구가 있다.
- 투게더 문화가 있다.
- 리더십 욕구는 있지만, 직접 하진 못한다. 틀을 만들지 못한다.
- 틀이 만들어져있다는 것이다.
- 상대가 보기엔, 이끌어주었으면, 책임, 기대심리 등이 생긴다.
- 정관은 이러한 기대심리를 수용하진 못한다. 리더가 된다면, 격이 되어야 하는것이다.
- 단체생활 잘하고, 조직에 속하고. 사람들 기대심리에 반하는 것을 두려워 한다.
- 명예실추 두려워한다.
- 정관이라는 것에 버림 받을까봐 두렵다.
편관이란?
- 일간이 극을 받는 것으로, 명령 받기도 하고, 검증 받기도 하는 것.
- 편성으로 경쟁자를 제거하는 형태이다.
- 비정상, 나쁜 사람, 무능한 사람을 찾아서 제거하고 조직 유지되길 기대한다.
- 관이라 그러한 조직이 있어야 한다는 것(검증할 주체를 유지하기 위함)
- 조직에 반한거나 조직에 필요없는 사람을 색출할 수 있는 것.
- 잘못을 잘 찾는것, 쉬지 않고 무언가 한다.
- 명령을 받고 수행해야함이 있으니 화가 많다. 불안심리 때문이다.
- 과로한다. 과중한다.
- 편관으로 안좋은것을 제거(살) 자나깨나 조직의 안녕을 위해 일하는 사람이다.
- 상대가 볼 때는, 위협 덩어리와 문제덩어리로 보인다.
- 스트레스 지수가 높아 보인다. 지적 받아가면서 살아간다.
- 편관이 많으면 과로한, 과중감이 강하다. 사건사고도 많다.
- 늘 주변에 사건이 많고, 그걸 해결하기 때문이다. 잔소리가 많다.
'사주 이론 > 육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겁의 특징 - 비견과 겁재 (0) | 2024.02.23 |
---|---|
식상의 특징 : 식신과 상관 (0) | 2024.02.22 |
재성의 특징 : 정재와 편재 (1) | 2024.02.05 |
인성의 특징 : 정인과 편인 (1) | 2024.01.30 |
육신의 의미와 종류 (인성, 식상, 재성, 관성, 비겁) (1)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