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샤의 명리 Library

묘월2

지장간의 해설 왕기 - 자 오 묘 유 / 子, 午, 卯, 酉 지장간의 해설 왕기 - 자 오 묘 유 / 子, 午, 卯, 酉 왕기란? 생기의 중기를 취합하여 용으로 쓰고 잡기의 중기에 자신의 형체를 숨겨 지지 변화의 중심에 있다 하여 왕기라고 한다. 생기는 미래, 잡기는 과거적 기운인데 이것과는 다르다. 하나의 오행 기운만을 가지므로 순수하고 강하나 미래 과거를 오가는 활동성은 미약 나의 자리를 지키는 체성, 외모가 화려하고 준수하다. 이것을 도화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월 (임 /계) 자수는 신의 중기(임수)를 취합하여 쓰임을 만들어내고 자가 진의 잡기의 중기(계수)의 자신의 형체를 숨겨 변화의 중심에 있게 된다. 신중의 임수가 사용되는 시기 계수는 화로 변화되어 나타나기 위해 자신의 형상을 진토에 숨김 임수가 장하는 마지막 기운, 이 시기를 지나면 월동준비 기회를 .. 2024. 1. 17.
십이 지지 - 지지 묘목, 묘, 묘월, 卯 지지 묘 글자의 의미는 지엽이 나뉘거나 문이 양쪽으로 열리는 모양 날이 밝으면 창문을 열고 대문을 외출하는 것 명리에서는 외면을 과시하는 개념 가지는 벌어지고 팔다리가 튼튼하고 외형을 꾸미고 묘의 활용 농작물과 같다. 병화를 보면 성장하고 사화를 보면 가지가 벌어지고 미토를 보면 열매를 맺는다. 해수를 보면 결실을 얻는다. 정화를 보면 열매가 마르고 오화를 보면 지엽이 마른다. 묘의 특성 싹이 돋아나는 모양에 비유 하루에서는 아침과 같아서 초롱초롱한 눈 특유의 유연함을 가지고 있어 거친 환경에도 꿋꿋하게 자라는 특징 무리하지 않고 상대를 편하게 해주는 부드러움 소유 반면 자기 주장이 강하지 않아 결단성이 부족 2023. 10.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