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화
- 열을 발생 시키는 영광로, 등촉에 비유된다.
- 도구 제작, 문명발달에 큰 공이 되어준 불이 되는 것
- 불의 발견으로 물건이 생겨났음을 생각하면 된다.
- 정화는 사물의 작용하여 금을 제련하고 목을 음식으로 만드는 화식에 사용
- 정화가 지나치면, 수분이 고갈되어 정신이 피폐해지고 지혜롭지 못한 사람이 된다. 나무는 마르고 신체 문생 발생, 장애, 직업활동 문제(경력쌓지못함), 땅이 마르면 내 거주지에 문제가 생기고 인간관계도 이지러진다.
정화의 요구 조건
- 갑목에 의해 항상 인화가 되어 있으면 준비된 인물이다.
- 경금을 만나 재료 제련을 통해 결실을 거둔다.
정화의 방해요소
- 정화가 병화를 보게 되면 태양의 밝음에 빛을 잃어 드러나 보이지 않는다. 낮에 뜬 달과 같다. 병화보다 낮은 위치에 살아가면 현명하다.
'사주 이론 > 십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천간 - 기토의 특징, 기토, 己土 (0) | 2023.12.18 |
---|---|
십천간 - 무토의 특징, 무토, 戊土 (0) | 2023.12.16 |
십천간 - 병화의 특징, 병화, 丙 (0) | 2023.12.14 |
십천간 - 을목의 특징, 을목, 乙 (0) | 2023.12.13 |
십천간 - 갑목의 특징, 갑, 甲 (0) | 2023.12.12 |